Java/Java

객체 지향 패러다임

DDG9 2024. 4. 16. 17:42

객체지향 패러다임이란?

 

객체지향 패러다임(Object-Oriented Paradigm)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론 중 하나로, 실세계의 객체를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관리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. 이 패러다임의 핵심은 프로그램을 상호작용하는 객체들의 집합으로 보고, 각 객체는 자신의 데이터와 행위를 갖는 독립적인 엔티티로 취급하는 것입니다.

 

※ "엔티티(Entity)"는 특정 속성과 행동을 가진 독립적인 단위 또는 객체를 의미합니다.

 

 

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

  1. 캡슐화(Encapsulation): 객체는 데이터(변수)와 그 데이터를 조작하는 함수(메서드)를 하나로 묶습니다. 이를 통해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데이터의 추상화를 가능하게 하고, 외부에서의 직접적인 접근을 제한합니다.
  2. 상속(Inheritance): 하나의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특성을 물려받을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,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, 중복을 줄이며, 유지 보수를 쉽게 합니다.
  3. 다형성(Polymorphism): 하나의 메서드나 클래스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능력을 말합니다. 오버라이딩(Overriding)과 오버로딩(Overloading)은 다형성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.
  4. 추상화(Abstraction): 복잡한 현실의 개체를 단순화된 모델로 표현하는 것으로,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능에만 집중하여 프로그램의 복잡성을 줄입니다.

 

 

'Java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his 의 3가지 사용방법  (0) 2024.04.18
접근 제어 지시자  (0) 2024.04.17
생성자 ( Constructor )  (0) 2024.04.16
RunTime Data Area  (0) 2024.04.16
메서드 ( Method ) 와 변수  (0) 2024.04.15